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조계사 뉴스

조계사 뉴스

문화

칠석특집 - 견우·직녀와 칠월칠석

  • 입력 2005.08.05
  • 수정 2025.01.13

음력 7월 7일은 칠석(七?)이다. 견우와 직녀의 애틋한 사랑이 전하는 날이다. 

 

목동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 직녀가 혼인하였다. 그 후 그들이 놀고먹으며 일하지 않자 옥황상제는 노하여 견우는 은하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 서쪽에 떨어져 살게 하였다. 부부는 서로 그리워하며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만 태워야 했다.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들은 까마귀와 까치는 매년 칠석날 하늘로 날아올라  이들의 만남을 위해 다리를 놓아 주었으니 곧 오작교(烏鵲橋)이다.

 

견우와 직녀는 칠석날 이 오작교를 건너 그리운 회포를 풀고 헤어진다. 그래서 칠석날 지상에는 까치와 까마귀가 보이지 않으며, 병으로 하늘로 올라갈 수 없는 것들만 남는다 한다. 이날 까마귀와 까치는 다리를 놓느라 모두 대머리가 된다 한다.

 

 

칠석 전후 비가 내리는 이유는 견우와 직녀가 타고 갈 수레 준비를 하느라고 먼지투성이 수레를 씻기 때문이라 한다. 그 물을 ‘수레 씻는 비’ 즉 ‘세차우(?車雨)’라 한다. 그뿐 아니라 칠석 저녁에 내리는 비는 견우와 직녀가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며, 이튿날 새벽에 내리는 비는 슬픈 이별의 눈물이라 한다. 이것을 ‘흐르는 눈물 비’, 곧 ‘쇄루우(灑?雨)’라 부른다.

 

칠월칠석은 견우와 직녀의 애틋한 전설을 간직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아낙네들의 길쌈 솜씨나 청년들의 학문 연마를 위해 밤하늘에 별을 그리며 소원을 빌곤 한다. 애절한 전설만큼이나 잠 못 이루는 한여름 밤의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기도 한 칠석은 천상과 지상을 연결하는 풍속으로 발전한다. 

 

평안남도 덕흥리 고분에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견우는 소를 끌고 견우성으로 떠나고 직녀가 자미원 밖에서 배웅하는 벽화가 있다. 이 고분 벽화로 고구려 시대 이전부터 우리 민족은 칠석날과 관계되는 제천 의식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 공민왕은 왕후와 함께 견우성과 직녀성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칠석날 잔치를 벌이고 성균관 유생들에게는 과거를 베풀었다. 민간에서는 이날 밀국수와 호박부침 등을 먹었으며, 부녀자들은 별을 보며 바느질을 잘하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걸교(乞巧) 풍습과 함께 마을 서낭당에 가서 자녀의 무병장수를 빌기도 하였다. 서당의 소년들은 별을 보며 시를 짓거나 공부를 잘하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풍속도 있었다.

   

칠석은 왜 이와 같이 민족의 가슴 깊이 뿌리박은 전통 명절이 되었을까? 그것은 우선 계층을 뛰어 넘는 사랑의 정신이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 목동(견우)과 공주(직녀)의 결혼과 사랑이야기에서 바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야기 구조는 단군신화의 환웅과 웅녀의 결합에서 시작되어, 온달장군과 평강공주 이야기를 거쳐,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으로도 변형되어 나타나는 우리민족의 마음 바탕인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우리민족이 본래 가지고 있던, 계층을 초월하여 모든 생명이 어우러지는 대화합의 정신이 상징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그 정신은 하늘과 땅의 만남으로 까지 확장된다. 땅의 까마귀와 까치는 하늘로 솟구쳐 오르며 하늘에서는 비가 내린다. 이 얼마나 멋진 조화의 세계인가.

 

<한단고기>를 참고한다면, 칠석날은 인류의 조상인 나반(那般)이 은하수를 건너서 천제를 만나러 가는 날이다. 천제를 만나서 담판을 지어야할 일들이 있기 때문이다. 장마를 그치게 하는 일이 바로 그 중의 하나이다. 담판을 끝내고 그는 증표로 소 한 마리를 끌고 은하수를 건넌다. 그래서인지 음력 칠월 초에는 장마가 그치게 된다. 칠월칠석은 이렇게 나반(那般)을 통하여 장마가 끝났음을 선언하는 날이며 일년 중의 후반기를 시작하는 선언을 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다.     

  

천문학적으로 본다면 견우성은 독수리별자리의 알타이어(Altair)별이고, 직녀성은 거문고별자리의 베가(Wega)별로서, 은하수의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별은 태양 황도상의 운행에 의해 가을에는 서쪽 하늘에 보이고, 겨울에는  낮에만 뜨고, 봄에는 동쪽 하늘에 있으며, 칠석 때면 천장 부근에서 볼 수 있으므로, 1년에 한 번씩만 만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최남선은 <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 ‘견우성과 직녀성이 1년에 한 번씩 마주치는 것은 해마다 경험하는 천상(?象)의 사실이었는데, 한대(漢代)에 와서 칠석의 전설이 성립된 것’이라고 하였다.

 

신화든, 풍속이든, 천문학이든, 여하튼 칠석은 만남과 화합, 조화의 정신을 내포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러기에 불교의 사찰에서도 이 같은 민간의 세시풍속을 존중하여 우란분절을 앞두고 성대한 재를 올리거나 한 여름 농부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이웃과 함께 나눔의 마당을 열기도 하였다. 바로 이런 점이 다른 종교와 구분되는 불교의 위대한 포용성이며, 진정한 세계종교로서 지켜나가야 할 미덕이다.

 

이별은 이별은 끝나야 한다

말라붙은 은하수 눈물로 녹이고

가슴과 가슴을 노둣돌 놓아

슬픔은 슬픔은 끝나야 한다, 연인아          문병란 <직녀에게> 중에서

 

칠석을 앞두고 민족의 통일을 생각해본다. 그 염원을 이루기 위해서 하늘과 땅이 서로의 마음을 비우듯, 평민 견우와 지배계층 직녀가 서로의 그리움을 부둥켜 안듯, 남과 북이 서로를 끌어안아야 할 것이다. 부처님 가르침으로 온 세상이 하나 되듯. 

 

 

 

:: 이 글은 조계사보 2005년 8월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조계사에서는 칠월칠석을 맞이하여 오는 8월 9일(음 7.5) 칠석기도 입재를 합니다. 칠석기도는 8월 11일(음 7.7)까지 3일간 봉행됩니다. 기도 동참을 원하시는 분은 조계사 접수처에 문의 바랍니다. 전화 02-732-2115 ::

 

조계사 글과 사진 : 조계사

저작권자 © 미디어조계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