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사 뉴스
조계사 뉴스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 시연회
▲ 전통 불복장의식 시연회 안내
우리 곁에 오신 <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 시연회 >
9일(수) 오후 1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전통문화예술공연장에서 첫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 시연회”가 스님들과 불자들 그리고 관심 있는 관련자들로 만원을 이루며 개최되었다.
삼귀의와 반야심경 봉독에 이은 인사말에서 ‘대한불교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 보존회장 무관 스님은 “복장의식이 간소화되고 법식이 어지러워질 것을 염려해 현대에 행해지는 불복장과 점안의식을 다시 정리하게 되었으며 불자는 물론 일반대중들에게도 단순한 문화재에서 예배공양의 대상으로 부처님의 진신을 이루는 의식임을 인식시키는 소중한 기회”라는 인사말을 했다.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문화부장 혜일 스님이 대독한 치사에서 “복장점안의식은 부처님의 법신을 구현하는 의식으로 순금으로 만든 불상이라도 진리에 닿지 못하면 의미가 없기에 복장점안의식을 통해 부처의 가르침, 즉 부처님이 상주하도록 하는 의식을 가져야 하고 불교의 무형문화유산이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임을 인정받고 성과를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1부 > 복장의식은 오색실과 신묘장구대다라니, 항마진언으로 결계된 법당에서 회장인 무관 스님을 비롯해 상임회원인 성오·도성· 경암 스님 등이 담당하여 불사를 증명하는 삼화상을 청한 뒤 도량을 옹호하는 신중작법에 이어 증명창불을 하여 의식의 시작을 고했다.
결계의식은 도량신을 청하여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생반삼분(生飯三分)에 이어 복장의식문을 읽고 신묘장구대다라니를 불전에 올리고 준비한 물목을 작법으로 오보병(五寶甁)을 만들었다.
준비된 <오륜종자-진심종자-입실지- 출실지- 준제구자- 하면원경- 오보병- 사리함-무공심주-팔엽- 상면원경>을 후령통에 차례대로 안치하면 후령통이 완성된다. 이 후령통을 오방경, 연기문, 각종 다라니와 함께 황초폭자 (= 보자기 역할)에 안치하여 오색실로 감싸고 금불지로 봉하면 조성이 끝이 난다.
다시 후령통을 단에 올려놓고 부동존진언 가지를 마친 뒤 단상 위에 안치하여 알가공양(閼伽供養)을 마친 뒤 불복의 배꼽 가운데에 조성한 후령통을 바르게 안치하고 불상 내부에 각종 경전(법신사리)과 다라니 등을 모신 뒤 1부 의식을 마쳤다.
2부 >
점안의식은 법당 및 성상결계(聖像結界)로 시작되었다. 간대를 세워 오색천으로 장엄하고 오색실을 묶어 법당 단상 위에 모신 성상의 오른쪽 귀 뒤에서 시작하여 왼쪽 손과 오른쪽 손으로 차차 옮겨 걸어 결계를 했다. 다음은 오색실을 증명법사 단상 위에서 천원과 팔엽대홍도, 금강저를 결계하고, 증명법사 단상 위의 쇄수기에 이르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는데 이는 부처님이 도솔천에서 오색실을 타고 내려와 강림(降臨)하시는 것을 의미한다.
인법은 정삼업진언, 정법계진언, 계단진언, 건단진언이며 시간 관계로 ‘도청팔청’ 예로 진행되었고 불상을 감 싼 천을 내리는 강생게는 ‘붓아닌 마음으로 점안’하는 광계법이 적용되었다.
점안의식과 점필법(點筆法)을 끝으로 모든 행사가 4시 지나 마무리되었다. 모든 의식이 끝나면 대중은 새로 점안한 성상을 우러러보며 권공의식을 행하고, 권공의식이 끝나면 축원을 하고, 신중단을 향하여 신중권공을 한 뒤 영단을 향하여 시식을 행해야 한다.
위의 의식이 치러진 뒤에야 비로소 부처님을 법당 안에 봉안하며, 이 모든 의식을 통틀어 ‘불상봉안 의식’이라 한다. 오늘 뜻깊은 ‘전통 불복장의식 및 점안의식’을 시연한 ‘대한불교 전통불복장 및 점안의식 보존회’는 조계종 단일계단 교수사 경암스님과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지난 4월 9일 설립하여 ‘21세기 불복장 점안의식의 새로운 통일안 마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보존회 회장은 조계종 법계위원 무관 스님이 맡으며, 심향사 주지 성오 스님, 복암사 주지 도성 스님, 조계종 단일계단 교수사 경암 스님 등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전통불교의 복원을 위해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자료]
▲ 후령통 및 물목들
▲ 물목들
▲ 제경전류
▲ 복장 다라니
▲ 점안의식을 기다리시는 부처님
조계사 글과 사진 : 조계사
저작권자 © 미디어조계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