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조계사 뉴스

조계사보 칼럼

[연재완료] 동명스님의 선禪심心시詩심心

봄을 보내는 아름다운 방법

  • 입력 2023.04.24

대나무 난간에 바람이 산들 부니 제비가 높이 날고

너무 깊숙한 곳이어서 한낮에도 사립문 닫아거네.

수천 망상은 삼매(三昧)에 의지해서 버리고

수만 봉우리를 단지 지팡이 하나로 돌아오누나.

헛된 명성은 물과 같으니 어디 머물 데 있으리오.

방랑의 발걸음도 구름 같아 그저 잠시 의지할 뿐,

밤중에 산비가 흠뻑 내려 꽃이 다 져버렸으니,

봄을 보내는 아름다운 시구절이나 한번 지어보세나.

 

竹欄風細鷰高飛 院落深深晝掩扉 

죽란풍세연고비 원락심심주엄비 

千慮只憑三昧遣 萬峯都把一笻歸 

천여지빙삼매견 만봉도파일공귀

浮名似水那堪駐 浪跡如雲是蹔依

부명사수나감주 낭적여운시잠의

山雨夜來花事盡 餞春佳句莫令稀 

산우야내화사진 전춘가구막령희

 

백곡처능(白谷處能, 1617~1680), 「봄날, 벗에게 보내다(春日寄友」

 

기다리고 기다리던 봄이 햇살로 지은 도포자락 입고 꽃들을 데불고 나타났는가 싶더니 어느새 이별이다. 사랑하는 이와의 만남은 아무리 길어도 짧고, 만남이 있으면 반드시 이별이 있음을 알고도 헤어짐은 쓰라린 법, 이 시를 읽으며 사랑하는 봄을 아름답게 보내는 법을 생각해본다.

이 시는 봄의 막바지에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의 한 부분이거나, 벗에게 전하고 싶은 마음을 노래한 것이다. 선사는 벗이 앞에 있지 않지만, 마치 먼곳에서 벗이 보고 있기나 한 것처럼 말한다. 조선시대에 화상통화나 화상회의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선사는 자신이 만나는 풍경을 카메라로 찍듯이 세세하게 전해준다.

 

오늘날의 우리에게는 대나무 난간이 생소하지만, 옛날에는 계단이나 낭떠러지 옆에 안전하게 대나무 난간을 설치한 경우가 많았다. 난간은 제비가 앉았다 가기 딱 좋지만, 새들은 위험한 것에 아주 민감하여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훌쩍 날아오른다. 바람이 불자 제비는 혹시나 다가올지 모르는 위험을 한 박자 먼저 피해 얼른 날개를 퍼덕여 날아오른다.

 

너무 깊은 산골이어서 어차피 올 사람도 없는데, 아침 일찍 열어두었던 사립문을 한낮에 닫는다.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깊은 산골에서 홀로 할 것이 무에 있겠는가? 물론 마당에 풀도 메고, 작은 텃밭도 가꾸고, 경전도 읽고, 글도 쓰고 하면서 소일할 거리야 무궁무진할 수도 있지만, 선사는 그저 떠나는 봄을 아름답게 보내는 법을 생각하고 있다.

첫째, 선사는 수천 망상을 삼매에 의지해서 버린다. 삼매에 들기 위해 좌선하면서 오직 화두에만 집중한다. “봄은 왜 왔다가 떠나는 것일까?” “봄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이 뭐꼬?” 화두에 집중하니 몸속으로 들어오는 삼매가 떨어지는 꽃잎처럼 화안한 빛이다.

 

둘째, 수만 봉우리를 단지 지팡이 하나로 유람한다. 평생 수만 봉우리를 유람했다는 뜻이겠지만, 한편으로는 매일 봉우리를 오직 지팡이 하나 짚고 오르락내리락, 그것이 선사의 유일한 나들이일 수도 있다. ‘지팡이 하나’로 돌아왔다는 것이 중요하다. 유람을 통해 뭔가를 얻겠다는 것이 아니라 지팡이 하나 들고 마음 챙기며 걸을 뿐인 것이다. 그렇게 봉우리를 오르락내리락하다 보면 봄이란 놈이 결코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봄과 이별하는 날도 가장 먼저 감지하게 된다.

 

셋째, 헛된 명성 따위는 물과 같아서 결코 머물지 않음을 되새긴다. 물욕이나 권력욕, 색욕, 수면욕까지 버리고도 출가자로서 쉽게 버리지 못하는 것이 명예욕일 수 있다. 그러나 명성을 쫒는 것이야말로 더욱 어리석은 일, 명성은 그야말로 물과 같아서 절대로 머물러 있지 않다. 어쩌면 이 시로 대화를 나눌 친구가 명예를 쫒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은근히 시를 통해 명성에 의지하는 것의 헛됨을 노래했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봄을 아름답게 보내기 위해 헛된 욕망 따위는 버려야 한다.

 

넷째, 방랑의 발걸음에도 집착해서는 안 된다. 명성이 물과 같다면, 방랑은 바람과 같다. 부처님이 유행(流行)을 일삼으며 한 곳에 정착하지 않으셨음을 본받아, 만행(萬行)을 수행으로 삼는 것은 좋지만, 만행에도 집착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내가 행복해지고, 나를 만나는 수많은 이들도 함께 행복하게 하는 것이다. 만행을 통해 그 일을 해낼 수 있다면, 부처님처럼 마지막 떠나는 날까지 유행하는 것이 옳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방랑벽도 바람 따라 흐르다 사라지는 것임을 알아, 선사처럼 작은 암자에 정착하여 시나 쓰면서 사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섯째, 봄을 보내는 아름다운 시를 짓는 것이다. 마침 한밤중에 산비가 와서 꽃잎을 땅바닥에 모조리 내려놓았다면, 그 꽃잎 바라보며 아름다운 시구절로 꽃을 붓끝에서 살려보자. 이 다섯 번째 방법이 선사가 봄을 보내는 방법 중에 가장 중요하다. ‘사랑하는 봄이여, 당신은 당신이 가는 길에 스스로 꽃을 뿌려놓았습니다. 오실 때 입고 오셨던 도포자락 휘날리며 당신이 만든 꽃길로 세상의 모든 꽃잎 데불고 가시옵소서!’ 이렇게 노래해 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더러는 “가는 것이 문제였던가, 그래서/ 갔던 길마저 헝클어뜨리며 왔는가 마음아/ 나 마음을 보내지 않았다/ 더는 취하지 않아/ 갈 수도 올 수도 없는 길이/ 날 묶어/ 더 이상 안녕하기를 원하지도 않았으나/ 더 이상 안녕하지도 않았다”(허수경, 「불취불귀(不醉不歸)」) 같은 명시도 나올 수 있겠으나, 명시에 집착하는 것도 명성에 집착하는 것처럼 괴로움을 낳을 뿐, 허허 웃으며, 훌륭하건 그렇지 않건 봄을 보내는 애틋하거나 따뜻하거나 소박하거나, 나름대로 아름다운 시를 지어서 친구와 교환하는 것, 이보다 더 낭만적이고 향기로운 일이 있을까? 

 

올해도 어김없이 봄과 이별해야 하는 날이 다가온다. 땅바닥에 마음을 내려놓은 꽃잎들과, 그 꽃잎들을 내려놓은 세상의 뭇 식물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든 생명체를 향해 부처님 같은 자비의 마음을 보내면서, 올해는 백곡처능 선사가 친구와 함께 공유한 ‘봄을 보내는 아름다운 방법’ 다섯 가지를 실천해 보련다.

 

 

동명스님 (조계종 교육아사리, 광명 금강정사 총무)

저작권자 © 미디어조계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